CS/네트워크

네트워크3

infobox503 2024. 8. 14. 15:04

20. TCP 헤더를 설명하세요.

부위별 해석

  • 발신지 포트 주소
    • 보내는 곳의 포트 번호
  • 목적지 포트 주소
    • 받는 곳의 포트 번호
  • Sequence number
    • 현재 패킷의 바이트 번호
    • 전송 데이터들을 서로 뒤섞이지 않고 보내기 위해 순서를 만드는 것임
    • 예시
      • 앞선 패킷이 1000~1200번 바이트 사용 시, 현재 패킷의 시퀀스 넘버는 1201
  • Acknowledgement number(확인 응답 번호)
    • 수신자가 원하는 다음 바이트 번호
    • 수신자가 ACK 신호로 Acknowledgement number를 같이 보냄
    • 송신자는 해당 Acknowledgement number를 TCP 헤더에 담아서 수신자에게 보냄
  • HLEN (or) Data offset
    • TCP 헤더의 크기를 나타냄
    • 단위 : 1word(= 4byte)
    • 예시
      • TCP 헤더의 크기 = 10byte
      • HLEN = 2 word ( = 10/4)
  • Reserved(예약)
    • TCP 헤더의 여유 공간
    • TCP 프로토콜의 기능 확장으로 인해, 새로운 용량이 필요할 시, 해당 공간을 사용 가능
    • 구체적인 예시는 없음
  • flag bits (URG, ACK, PSH, RST, SYN, FIN, NS, CWR, ECE)
    • 세그먼트의 상태 설정
  • Window Size
    • 수신자가 사용할 수 있는 버퍼의 남은 공간
    • = 송신자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
  • Checksum
    • 해당 tcp 세그먼트의 오류 검출
  • urgent pointer
    • 긴급 데이터가 끝나는 위치를 표시
    • (패킷의 시작 부분 부터 긴급 데이터가 끝나는 부분까지 전부 긴급 데이터가 됨)
  • options and padding
    • options
      • 해당 tcp 헤더의 추가적인 설명
    • padding
      • 해당 tcp 헤더가 기준 크기(표준으로 정해진 크기)보다 작을 시, 크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빈 공간

※ 긴급데이터

  • 송신측에서 먼저 처리되기를 희망하는 데이터

21. DNS 설명

  • DNS
    • 해당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
    • 컴퓨터는 도메인 주소를 해석할 수 없다. 따라서, 도메인 주소에 따른 IP 주소를 만들어내야한다.
    • 예시
      • www.google.co.kr
        • 도메인 : www, google, co, kr
        • kr을 관리하는 DNS 서버 방문 → co.kr을 관리하는 DNS 서버 IP 주소를 받을 수 있음
        • co.kr을 관리하는 DNS 서버 방문 → google.co.kr을 관리하는 DNS 서버 IP 주소 받기
        • google.co.kr을 관리하는 DNS 서버에서 www.google.co.kr의 최종 IP 주소 획득
        • www.google.co.kr의 IP 주소로 이동
    • DNS 서버 종류
      • 1단계 도메인 - 최상위 도메인(TLD - Top Level Domain)
        •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의 최상위 도메인 서버
      • 2~n단계 도메인
        • 맨 위, 맨 아래 도메인이 아닌 중간에 위치한 도메인
      • 서브 도메인
        • 맨 하위 도메인
        • 해당 도메인에서 최종 IP 주소 획득

※ 도메인

  • 해당 IP 주소와 매칭되는 텍스트
  • 사람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해당 ip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.
  • 따라서, 텍스트로 주소를 만들어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을 사용한다.
  • ex)
    • www, co, kr 등

22. TCP/IP 4계층에 대해 계층별로 설명하세요.

  • OSI 7계층과 차이점
    • TCP/IP 4계층은 OSI 7계층을 단순화한 모델
    • 실제 사용은 TCP/IP 4계층을 주로 사용
    • OSI 7계층은 각 기능에 따른 역할 분리가 더 잘 이루어져있는 모델
  • 사용자 → 1계층 → ~ → 4계층 → 서버 순으로 이루어짐
  • 계층

  • 1계층
    •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(network access Layer)
    •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
    • 물리적인 주소는 MAC 사용
    • OSI 7계층의 1 계층 + 2 계층 기능과 “유사”
  • 2계층
    • 인터넷 계층(Internet Layer)
    • 라우터를 통해 전송할 IP 주소를 선택하여, 해당 주소에 데이터를 전달
    • 해당 데이터에 IP 헤더 부착
    • 신호 단위 : 패킷
    • OSI 7계층의 3계층과 유사
  • 3계층
    •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
    • 목적지까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보내는 역할
    • 종류
      • 연결형 통신(TCP)
      • 비연결형 통신(UDP)
    • 3계층에서 데이터를 붙이는 헤더들
      • Port 번호
      • TCP or UDP
    • OSI 7계층의 4계층과 유사
  • 4계층
    •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
    • 두 대상 간에 데이터 교환 이후, 해당 데이터 실행되는 단계
    • OSI 7계층의 5~7계층의 기능과 유사

 

23.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해 차이를 중점으로 설명하세요.

  • 웹 서버
    • 정적인 컨텐츠 제공
    • 해당 HTTP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정적인 웹 사이트로 반환한다.
    • 예시 : HTML, CSS, JS
  •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
    • 동적인 컨텐츠 제공
    • 해당 HTTP 요청에 따른 응답을 동적인 웹 사이트로 반환한다.
    • 예시 : Servlet, JSP, thymeleaf

24.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세요.

  • 차이점
    • Public vs Private
  • 공인 IP (Public IP address)
    • 전세계적으로 공개된 IP 주소
    • 모든 PC에서 접근 가능
    • 전세계에서 겹치지 않는 독립된 IP 주소
    • ISP(인터넷 서비스 제공자)가 해당 IP 주소를 제공함
      • ISP 예시 : SK 텔레콤, KT
  • 사설 IP (Private IP address)
    • 공개되지 않은 내부 네트워크 IP 주소
    • ipv4의 주소 부족으로 인해, 중복된 주소를 사용하고자 만들어짐
    • 해당 주소를 서브넷팅하여 여러 주소를 만들어냄.
    • 해당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IP에 접근 가능함.
    • 예시 : 인트라넷

※Ipv4 : 프로토콜 버전 4

※서브넷 : 해당 IP 주소 안에서 여러 주소를 만들어내는 기술

※서브넷팅 : 해당 IP 주소 안에서 여러 주소를 만들어냄

24. API GATEWAY

  • 사용자의 API 요청을 적절히 응답해 주는 기능
  •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모든 API 요청을 받는 서버임
  • 장점
    •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을 전부 관리 가능
    • 여러 요청을 적절히 백엔드 서버들에 분배하여, 서버 부하를 감소시킴

※API : 응용 프로그램이 컴퓨터 자원을 쓸 수 있도록 돕는 기능

※API 요청

  • 응용 프로그램이 컴퓨터 자원을 쓰기 위해 API에게 요청을 보내는 것
  • 예시
    • 사용자 PC의 응용 프로그램 → 서버로 자원 요청

'CS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네트워크2  (0) 2024.08.13
네트워크1  (0) 2024.08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