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요약>
- 하드디스크
- 구조
- 원형평판
- 헤드
- 디스크 팔
- 구동 장치
- 저장 방식
- 등각 속도 방식(CAV)
- 다중 영역 기록 방식(MZR)
- 실린더
- 헤드와 맞닿는 트랙 개수
- 구조
1. 하드디스크
- 의미
- 영구기억장치
- 원형판을 자화될 수 있는 물질로 코팅해서 만듦
- 구성
- 원형 평판
- 다수의 트랙
- (트랙 : 원형 평판 각 층의 원이고, 데이터가 저장됨)
- (층 : 원형 평판 1개 안에서 동심원으로 여러 개의 층을 뜻함)
- 헤드
- 표면을 자화시킴
- 트랙을 자화시켜서 데이터 저장 및 읽기
- 디스크 팔
- 헤드 이동 장치
- 구동 장치
- 원형 평판 회전시킴
- 디스크 팔 움직이게 함
- 디스크 쓰기
- 트랙상에 데이터 저장
- 전류의 방향에 따라 1,0을 나눔
- 디스크 읽기
- 디스크 표면의 저장된 데이터 읽기
- 전류의 방향을 읽고, 1,0 판단
- 디스크 표면
- 트랙간 갭
- 원형 평판의 각 트랙끼리는 간격이 있음
- 트랙 간의 자성에 의한 영향 방지
- 섹터간 갭
- 섹터들을 구분하는 빈 공간
- (섹터 : 디스크에서 한 번에 읽거나 쓸 수 있는 데이터 크기)
- 트랙 안에 여러개의 섹터 존재
- 구조
- 트랙간 갭
2. 하드디스크 저장방식
- 등각 속도 방식(CAV)
- 의미
- 디스크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
- ⇒ 각 섹터마다 지니는 데이터 비율 같음
- ⇒ 바깥 원의 면적이 더 크므로, 바깥 원일 수록 데이터 저장 밀도 하락)
- (똑같은 속도이므로, 안쪽 원과 바깥 원의 데이터 밀도가 차이가 남)
- 의미
- 다중 영역 기록 방식(MZR)
- 의미
- 여러 개의 트랙을 1개로 묶음
- 각 영역에 따라 헤드의 저장 밀도를 다르게 세팅(바깥쪽일수록 저장 밀도 높이고, 안쪽일 수록 저장밀도 낮춤)
- 디스크 전체적인 저장 밀도가 같도록 조정하기 위함
- 같은 영역(묶음)에 있는 트랙들의 저장 밀도는 같음
- (각 트랙의 섹터 면적을 조절해서 저장 밀도를 같게 만듦)
- 장점
- 하드디스크 전체 사용 가능량 증가
- 단점
- 헤드가 각 영역으로 이동할 때, 저장 밀도가 다르므로 읽기 및 쓰기 시간 차이 발생
- 각 영역의 데이터 양이 달라서 그에 맞게 회로를 만들어야됨
- 의미
3. 디스크 형식화 작업
- 의미
- 섹터 구분을 위한 작업
- 구조
- 갭 / ID 필드 / 갭 / 데이터 필드 / 갭
- ID 필드
- 해당 섹터 ID
- ⇒ SYNCH 바이트(특정비트패턴) + 트랙 번호 + 헤드 번호 + 섹터 번호 + 오류 검출 코드
4. 디스크 드라이브
- 의미
- 전체 부품을 의미
- 하드디스크드라이브 → 하드 디스크에 있는 모든 부품 전체를 뜻함
- 종류(평판의 개수)
- 단일 평판 디스크
- 원형 평판 1개
- 다중 평판 디스크
- 원형 평판 여러개
- 단일 평판 디스크
- 종류(면의 개수)
- 단면 디스크
- 한쪽 면만 자화 물질로 코팅
- 양면 디스크
- 양쪽 면 자화 물질로 코팅
- 단면 디스크
※실린더 : 각 원형 평판의 트랙 1개씩 합하면 실린더(헤드와 맞닿는 트랙 개수)
5. 디스크 액세스 시간
- 시간
- 탐색 시간
- 헤드를 트랙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
- 회전 지연 시간
- 원하는 섹터를 만나기까지 걸리는 시간
- 데이터 전송 시간
- 해당 데이터 보내는 데 걸리는 시간
- 탐색 시간
- 디스크 액세스 시간
- 위의 시간들 전부 합친 값
※rpm : 분 당 회전 수
- 관련 문제
- 6-1 PPT 20p
- 제어기 지연시간
- I/O제어기로부터 명령을 받고 수행을 시작하기까지 걸리는 시간
'CS > 컴퓨터 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장 : 보조기억장치 - (3) 플래시 메모리, SSD (0) | 2024.12.31 |
---|---|
5장 : 보조기억장치 - (2) RAID (0) | 2024.12.27 |
4장 : 기억장치 - (9) DDR SDRAM (0) | 2024.12.23 |
4장 : 기억장치 - (8) 교체 알고리즘 (0) | 2024.12.20 |
4장 : 기억장치 - (7) 사상방식2 (1) | 2024.12.18 |